본문 바로가기

정보/Network

클라우드 컴퓨팅, AWS Cloud 서비스

On-Premise vs On-Demand vs Serverless

  • On-Premise : 물리 서버, 흔히 생각하는 서버를 기업 내부에 구축한 것이다.
    • 기업의 특성에 맞게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다 : 완벽한 기술 스택의 제어가 가능
    • 물리적으로 가까운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기에 잘 관리 된다면 대기시간이 낮다.
    • 보안성이 좋다 : 내부 네트워크를 이용하기 때문에 회사의 기밀, 연구결과 등의 유출을 방지 가능
    • 처음 설치 및 이후 유지, 관리에 비용이 많이 든다. 서비스 종료시에도 처리가 힘들다.
    • 확장이 유연하지 못하다 :  비용이 들고, 원하는 것 이상으로 확장하게 되어야 할 경우가 존재
  • On-Demand : 가상 서버, AWS, Azure와 같은 초대형 기업의 물리 서버에 사설 가상 망을 구축한 것
    •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 할 수 있다. 또는 필요한 자원의 양을 자유롭게 설정 할 수 있다.
      ➡️확장성, 탄력성이 매우 좋다.
    • 물리 서버의 유지, 관리를 cloud 서비스 제공자가 대신 해준다.
    • 간편한 설정이 가능해서 접근하기 쉽다.
    • 따라서 대기업, 중견기업 같은 경우 트래픽이 발생했을 때만 비용을 지출하거나
      스타트업, 학생 팀프로젝트 같은 경우 프리티어로 무료로 서버 사용 가능.
  • Serverless : Cloud와 비슷하긴 하나 요청 횟수에 따른 과금을 요구한다.
    • 요청이 들어올 때만 서버를 만들어서 수행 후 서버를 죽인다.
      ✅요청이 들어오면 기존에 떠 있는 서버가 받아서 처리하는 On-Demand와 이부분이 다르다.
    • 호출 횟수가 적은데, 자원이 생각보다 큰 작업의 경우에 Serverless로 처리할 수 있다.
    • 다만, 생각보다 과금이 많이 되는 편이다.
    • AWS와 같은 경우, 잉여 서버를 사용하는 편이라 On-Demand 보다는 가용성이 낮다.
      ➡️ 따라서 failover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추가 작업이 필요할 수 있다.
      ➡️ 무턱대고 사용하는게 좋은게 아니므로 비용에 대한 계산이 필요하다.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의 종류

https://www.magemma.com/?path=page/ggitem&ggpid=773935

 

흔히 말하는 전통적인 IT서비스(즉, On-Premise)는 맨 왼쪽처럼

9개의 요소를 전부 관리해야 한다. 그러나 클라우드 서비스는 모델에 따라서 이를 일부 혹은 전부 제공한다.

그 정도에 따라 클라우드 서비스를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개발자와 기업은 제공되지 않는 나머지 부분을 만들고 관리하면 되는 것이다.

  1.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 클라우드에서 네트워크와 서버를 제공
    1. 개발자는 OS 및 런타임 구성,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구축 및 배포해야 한다.
    2. 개발자를 위한 인프라를 제공하는 서비스
    3. ex) AWS EC2 서버
  2. PaaS(Platform as a Service) : 클라우드가 네트워크, 서버, OS, 런타임 구성을 제공
    1. 개발자를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
    2.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및 배포는 사용자가 해야 한다.
    3. ex) AWS Elastic Beanstalk : 원하는 서비스만 올리면 된다.
  3. SaaS(Software as a Service) : 클라우드가 모든 걸 다 제공한다.
    로컬에 설치하지 않아도 되고 사용만 하면 된다.
    1. 최종 사용자(즉, 클라이언트)에게 완성된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서비스
    2. 개발자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지만, 이를 클라우드를 통해 배포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3. ex) Slack(서버까지 전부 Slack에서 관리), Notion(AWS를 사용한 SaaS)

 

AWS Cloud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

Region ➡️ AZ ➡️ IDC 의 3계층으로 서비스를 제공.

실질적 물리 센터는 IDC단위로 구성되어 있으나 IDC 별로 각각의 서비스를 가지고 있는 게 아니다.

각 Region에서는 여러개의 AZ로 구성되어 있다.

그 단위가 AZ이고, AZ를 이중화한 것이 IDC이다.

  • Region
    • 전 세계에 존재하는 지역별 AWS 서비스의 단위
    • 최소 2개 이상의 AZ를 필수로 포함하고 있다.
    • 우리나라 기준 1개의 Region(Asia Pacific(Seoul) - ap-northeast-2)이 존재한다.
  • AZ(Availablity Zone)
    • Region에서 물리적 독립성을 가지도록 설계한 단위
    • 우리나라 기준 4개의 AZ가 존재함. Asia Pacific(Seoul) - ap-northeast-2a, 2b, 2c, 2d
    • 각각의 AZ는 2개 이상의 IDC로 이중화가 되어있다.
    • 실제로 AWS를 사용할 때는 두 개 이상의 AZ를 활용해서 서비스와 데이터를 배포하고,
      한 AZ에서 장애가 발생해도 다른 AZ에서 서비스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SPOF(Single Point of Failure)를 제거하고 가용성을 극대화하 방식으로 사용한다.
    • AWS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AZ단위로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 IDC(Internet Data Center)
    • On-premise, 사실상의 물리 서버
    • AZ 자체 내에서 AWS가 이미 다중 IDC를 통해 이중화를 수행하고 있다.

 

 

AWS 서비스 종류

1. Region 서비스 - 지역별로 필수로 사용해야 하는 리전이 정해진게 아니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선택의 기준이 필요하다. 

  • Proximity : 물리적 거리로 인한 시간 지연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 가까운 리전을 선택
  • Available Service: 특정 AWS 서비스는 특정 리전에서만 지원하는 경우가 있다.
    리전 별로 서비스가 현지화 되어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
    • ex) 대부분 리전이 2-3개의 AZ를 가지고 있는 반면, 서울은 4개의 AZ 제공.
  • ex) EC2, RDB, DynamoDB, S3, Lambda, ElasticBeanstalk

2. Global 서비스 - 리전에 상관 없이 전역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서비스

  • ex) IAM :  AWS 계정 권한, 역할 관리 ➡️ 전역적으로 되어야 하기에 global 서비스로 제공된다.
  • ex) Route53, CloudFront, WAF, Certificate Manager, Secrets Manager

 

 

 

 

'정보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네트워크 개요  (0) 2024.10.22